안전한 어른이 된다는 것은 학대 예방에 관한 강의를 듣고 그에 관한 지식들을 잘 알고 답하는 것 이상의 것입니다. 건강한 행동을 모델로 하는 어른은 아이들에게 위험한 어른들 안에서 안전한 어른을 구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강한 본보기가 됩니다.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학교의 규칙과 내부의 가이드라인을 잘 지키며 또 항상 아이들을 지원하는 행동을 하는 것은 안전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도움을 줍니다.
Being a safe adult is more than just taking some classes on abuse prevention and filling in the right answers. Adults who model healthy behaviors are a strong example for children, helping them distinguish safe from unsafe adults. Basic actions, like wearing a seatbelt, obeying school rules and ministry guidelines, and always acting in a way that supports children can help build a safe community. For more ideas, read the VIRTUS® article “Modeling healthy behaviors”
at lacatholics.org/did-you-know.
작년에 통과된 초당적 법안이 인터넷 플랫폼이 온라인 공간에서 학대 또 유인으로부터 어린이들을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2024년 5월에 통과된 REPORT 법은 미국에 기반을 둔 인터넷 플랫폼이 어린이 성매매와 유인을 National Center for Missing and Exploited Children(NCMEC) 에 보고하도록 요구한다. 이와 함께, NCMEC 는 온라인 플랫폼이 어린이 성 착취에 관한 주요 신호나 증거들를 알아봄으로써 어린이들을 보호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발행하였습니다.
A bipartisan bill passed last year is helping internet platforms protect children from abuse and enticement in their online interactions. The REPORT Act, passed in May 2024, requires U.S.-based online platforms to report child sex trafficking and online enticement to the National Center for Missing and Exploited Children (NCMEC). To assist with this, NCMEC has issued guidelines intended to help online platforms play a crucial role in protecting children by recognizing key signs and indicators of child sexual exploitation. For more information, visit https://www.missingkids.org/blog/2024/first-line-of-defense-guidelines-to-help-online-platforms-detect-sexually-exploited-kids.
미국 성인의 거의 4명중 1명은 신체적 제한에 서부터 감소된 사고 인지 능력에까지 해당되는 어떠한 형태의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개인의 장애에 관한 잘못된 이 해나 인식은 그 사람을 학대의 위험에 놓이게 합니다. 개인의 특별한 상황, 능력과 어려움들을 이해하겠다는 목적에 맞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우리는 커뮤니티 안에서 취약한 존재인 그들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안전과 커뮤니티를 도울 수 있는 어떤 예를 들자면 : 짐작으로 넘어가기 보다는 질문 하기, 개인의 능력에 초점을 맞추 기와 긍정적인 언어로 대하기가 있습니다
Nearly 1 in 4 U.S. adults report living with some kind of disability, ranging from physical limitations to diminished mental capabilities. Misunderstandings and misconceptions about a person’s individual disabilities can put that person at risk for abuse. By adopting practices that aim to understand a person’s unique circumstances, abilities, and challenges, we can work to protect those who are vulnerable in our communities. Some examples which can help foster safety and community include: asking questions instead of making assumptions, focusing on a person’s abilities and using positive language. For more information, read the VIRTUS® article “Our Mission to Protect Vulnerable Adults” at lacatholics.org/did-you-know.
Read the VIRTUS® article “Our Mission to Protect Vulnerable Adults” here.
미국에서 매년 약 100명의 아이들이 낯선 사람에 의해서 납치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납치의 경우는 아는 사람에 의해서 행해집니다. 이는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거의 모든 범죄에도 해당이 됩니다. 통계상 어린이 실종의 가장 흔한 경우는 자발적 가출 또는 신뢰할 수 있다고 믿어지는 친구 또는 가족 구성원의 부추김에 의한 가출입니다. 주변에 도사리는 위험을 통제할 수는 없지만 우리는 아이들에게 건강한 경계를 인지하고 설정하는 법, 그들의 직감을 믿는 법 그리고 도움을 요청하는 법을 어느 연령에서나 배우고 발달시키도록 할 수 있습니다.
선물을 주고 받는 계절이 왔지만 어떤 선물은 아이들이 어른들에게 받기에 적합하지 않는 것 들도 있습니다. 선물을 누구에게 주어야 하는지 또 선물을 주지 않아도 되는지에 관해 자녀들과 적절한 선물주기에 관해 이야기해보십시오. 또 어느 때에 선물을 주고 받아야 하는 지에 관해 서도 이야기 해보십시오. 선물받기에 관한 가족 만의 규칙을 만들어도 좋을 기회가 될 것입니 다. 예를 들면, 친구와 가족들은 생일이나 크리 스마스와 같은 명절이 아닌 다른 날에 선물을 주고 받지 않는다와 같이 말입니다.
’Tis the season for giving and receiving gifts, but some gifts are inappropriate for children to receive from adults. Talk to your children about appropriate gift giving – who they should give presents to and who they do not need to give to. Discuss when they should accept a present or not. This would be a good time to establish family rules
about gift receiving. For example: friends and family may not accept gifts outside of established holidays, like a birthday or Christmas. For more information, read the VIRTUS® article “An embarrassment of riches: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gift giving to kids” at lacatholics.org/did-you-know/. Read the VIRTUS® article “An embarrassment of riches: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gift giving to kids”.
커뮤니티는 적절한 경계가 세워졌을 때 번 영합니다. 경계의 부재로는 모두가 위태로 워지며 특히 어린아이들은 절제가 없는 문 화에 놓이게 됩니다. 안전한 어른으로서 우 리는 적절한 경계를 정의하고 강화함으로써 아이들에게 힘을 실어 줄 수 있습니다. 아 이들은 주변 어른들을 보면서 배웁니다. 우 리 어른들이 경계를 세우고 지키는 것을 보여주는 일은 그들이 살아가며 배워야 하 는 중요한 부분을 가르쳐주는 것입니다.
Communities thrive with appropriate boundaries in place. Without them, everyone is left vulnerable, especially children, in an “anything goes” culture. As safe adults, we can empower children by defining and strengthening our own boundaries. Children learn by watching the adults around them. Seeing us make and hold boundaries will teach them this incredibly important skill. To learn more about setting and upholding boundaries, read the VIRTUS® article “When Boundaries Abound, Our Lives Can Flourish” at lacatholics.org/did-you-know/.
Read the VIRTUS® article “When Boundaries Abound, Our Lives Can Flourish” here.
인공지능 또는 AI이 놀라울 정도로 실사에 가까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장에 도래하였습 니다. “딥페이크” 라고 불리우는 이러한 이미 지들이 소셜미디아에 나타나고 있습니다. 2024년 1월에는 AI에 의해 외설적인 테이러 스위프트의 사진들이 온라인에 기재되어 삭제 되기 전가지 사람들에 의해 45만이 넘는 숫 자가 조회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AI 기술은 아동 학대자들에 의해 이용되어 조작 된 잘못된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공유될 수 있습니다.
Artificial intelligence, or AI, has opened the door to generating incredibly realistic images. Often called “deepfakes,” we have seen these images crop up on social media. In January 2024, explicit images of Taylor Swift, created by AI, were posted online, and viewed over 45 million times before they were removed. In the same way, AI technology can be used by child abusers to create and share explicit imagery. For more information, read the VIRTUS® article “Artificial Intelligence – Deepfakes and Child Abusers” on lacatholics.org/did-you-know/.
Read the VIRTUS® article “Artificial Intelligence – Deepfakes and Child Abusers” here.
트라우마를 고려하여 다른 사람들과 상호 교류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길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우리 는 우리가 말하는 것 중 어떤 주제들을 상대의 트라우마나 기억을 떠올리게 할 수 있음을 인지 하고 조심해서 말할 수 있겠습니다. 또 그러한 주제들을 진지하게 받아들여 농담이나 무례한 말 을 하기를 거부할 수도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 은 신체접촉을 조심하는 것입니다. 좋은 의도로 친절하고 자연스런 분위기 안에서 다른 사람을 안거나 토닥일 때에도 그것이 학대를 경험한 사 람에게는 어떻게 받아들여질지는 알 수 없습니다.
What are some practical ways we can interact with others that are trauma-informed? We can be mindful of what we talk about and how, recognizing that certain topics can trigger a trauma memory. We can also take those topics seriously, refusing to participate in jokes or disrespectful comments. Another thing to consider is how we touch others, even casually or in a friendly manner — we can never know how a well-intentioned hug or pat could be taken by someone who has suffered abuse or trauma. For more tips, read the VIRTUS® article “Being Trauma Informed” on lacatholics.org/did-you-know/.
Read the VIRTUS® article “Being Trauma Informed” here.
어린이들은 태생적으로 포옹, 팔과 다리를 쓰다 듬거나 뽀뽀와 같은 다정함의 신체적인 애정 표 현을 찾게 됩니다. 이에 따르는 반응에 무엇이 적절하고 적절치 않은지를 알고 있어야 하는 것 은 어른들의 책임입니다. 이를 고려한 한가지의 팁은 줄임말, PAN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PAN 은 Public(공개적인) 접촉, Appropriate(적절 한) 접촉, Non-sexual(성적이지 않은) 접촉을 의미합니다. 이것들은 하이파이브, 옆으로 포옹 하기, 등 토닥이기 등과 같이 아이의 개인공간 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정서적 교류를 다지는 애 정표현을 나타낼 수 있는 것들을 포함합니다.
Children, by nature, give and seek physical affection — hugs, pats on the arm or leg, even kisses. It is the responsibility of adults to know what is and is not appropriate when it comes to responding to this need for physical affection. One tip to consider is the acronym PAN, meaning touch that is public, appropriate, and non-sexual. This could include high fives, side hugs, back pats, and other displays of affection that reaffirm an emotional connection without crossing the child’s personal boundaries. For more information, read the VIRTUS® article “Touch (A Sensitive Subject)” on lacatholics.org/did-you-know/.
Read the VIRTUS® article “Touch (A Sensitive Subject)” here.
성적 학대를 경험한 아이들은 하나의 또는 여럿 이 다음과 같은 행동을 공통적으로 보일 수 있습 니다. 수면의 어려움, 특히 악몽, 두려움, 가족과 친구에게 위축, 분노, 불안과 우울감. 성적 학대를 겪은 아이들은 제 연령에 맞지 않은 성 지식을 말이나 행동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또 어쩌면 자신을 탓하거나 죄책감을 표할 수도 있습니다. 위와 같은 행동을 보인다고 해서 성적인 학대를 받고 있다는 즉각적인 해석을 할 수는 없지만 아 이와 대화를 통해 어떠한 일이 일어나고 있는 혹 여 문제가 있는지 알아는 보아야 합니다
A child who has experienced sexual abuse may exhibit one or many of these common behaviors: sleeping troubles, including nightmares, fear, withdrawal from family and friends, anger, anxiety, or depression. Children who have been abused may speak or behave in a manner that indicates sexual knowledge inappropriate for the child’s age. They may also show signs of guilt or self-blame. If any of these behaviors are present, it does not automatically mean abuse is happening, but it does mean you should address the situation, and talk with the child about what is going on. For more information, read the VIRTUS® article “Learning from True Stories of Victims/Survivors” on lacatholics.org/did-you-know/.
Read the VIRTUS® article “Learning from True Stories of Victims/Survivors” here.
할로윈은 아이들에게 일년 중 가장 신나는 밤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부모들에게는 가장 걱정이 되 는 밤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가족들이 트릭 오어 트릿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몇 가지의 안전 팁을 고려해봅니다. 밝은 색상의 커스튬을 고르고 아이 들에게 손전등이나 야광봉을 주어 눈에 잘 띄도 록 합니다. 잘 아는 익숙한 동네와 불이 켜진 집 들과 거리를 찾아갑니다. 혹여 서로 헤어졌을 때 를 대비해 아이들에게 핸드폰 번호를 외우게 하 거나 적어 호주머니에 넣거나 자신의 팔에라도 적게 하십시오
만약 미성년자의 사진을 누군가가 공공장소에서 촬 영하고 있다면 어떻게 할 수 있겠습니까? 비록 촬영 이 허락되었더라도 어른의 주의가 필요한 경우가 있 을 수 있습니다. 어린 아이에게만 집중한다든지 특정 신체부위를 확대 촬영한다는지와 같이 촬영하는 사 람의 행동이 의심스러운가요? 특별한 이유없이 아이 들 주변을 맴도는지요? 염려되는 부분이 있다면 다 가가 왜 사진 촬영을 하는지 물어보고 당신 아이의 사진 삭제를 요청해 보십시오. 거기서 법적인 조치를 요청해야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What can be done if a person is taking pictures of a minor in a public place? Although it is legal that a person can take pictures or videos in a public place, there are sometimes extenuating circumstances that require adults to pay more attention. Is the person taking photos acting suspiciously — focusing on only minor children, for example, or zooming in on specific body areas of their subjects? Are they hovering around groups of children with no seeming reason for being there? If you have concerns, speak up. Ask why the photos are being taken, or if the person is willing to delete the images of your child. From there, you can decide if you need to get the authorities involved. For more information, read the VIRTUS® article “When People Take Photos and Videos of Minors Without Permission” at lacatholics.org/did-you-know/.
어른들은 하느님 뜻에 따라 살며 서로 사랑하라는 크리스챤의 메시지를 살아낼 책임이 있습니다. 우리 는 또한 어린이들이 이 메시지를 살아가도록 도와줄 책임 또한 있습니다. 규칙을 따르고, 이웃을 도와주 는 선한 행동을 따라 배우고, 안전벨트를 매고, 환경 을 돌보는 신앙어린 행동을 보여줌으로써 아이들을 보호해야할 역할을 고려하십시오. 또다른 길은 아이 들의 목소리에 귀 귀울이고 그들의 관심사와 필요와 걱정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신앙을 증거할 수 있습 니다.
개인 경계는 교회 안과 봉사 안의 모든 관계와 교류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는 자신과 우리가 교류하는 다른 사람들과의 교류를 위해서
경계를 설정합니다. 교회 안의 직원과 봉사자로서 섬기고 자 하는 사람들를 향한 힘을 부여받게 됩니다. 따 라서 그에 따르는 힘과 권력이
섬기고자 하는 사 람들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삼아야 합니다.
아이들을 주차장에서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 STAR 방법을 고려해 보십시오. Connecting for Kids에서 아이들에게 주차장에서 있을 때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STAR 방법을 제안합니다. S는 Stop(차에서 내리자마자 우선 멈춤)
T는Touch(차에 안전한 부분에 서서 움직이지 않음) A는 Attention(주변 차와 어른이 알려주는 경로를 살핌) R는 Reday(움직여도 좋다는 어른의 허락을 기다림)
Consider using the STAR method to keep your children safe in parking lots. The organization Connecting for Kids offers the STAR method to remind children of simple steps when they are in a parking lot. S: STOP as soon as you get out of the car. T: TOUCH a safe space on your car and do not move. A: Pay ATTENTION to the cars around you and the directions an adult gives you. R: Wait for an adult to tell you that you are READY to go! For more tips, visit bagintheback.org.
당신이 사람이 많고 복잡한 쇼핑장소에서 자녀들 을 데리고 있을 때 – 쇼핑몰, 슈퍼마켓이나 파머 스 마켓을 생각해보십시오 – 일행이 흩어지지 않 고 이동하며 아이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가지고 있는 것은 중요합니다. 아이들을 최대한 가까이 머물게하며 카트 안에 앉히거나 손을 잡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화장실을 갈 때에 도 항상 일행이 함께 가도록 하고 최소한 둘이 짝을 지어 가도록 하며 만날 수 있는 장소를 정 하도록 하십시오.
When you are with your children in a crowded shopping area — think mall, grocery store, farmer’s market — it is important to have a plan of action to keep your group together and your children safe. Keep children as close as possible, ideally either in a cart or holding hands. Always go as a group to the bathroom, or at least in pairs, and have a designated spot to meet back up. For more tips, visit missingchildrensnetwork.ngo.
올해 학교에서 아이들이 태블렛과 핸드폰을 사용한 다면, 온라인으로 접근 가능한 영역에 관해서 알아두 어야 합니다. 많은 학교들이 아이들이 접근할 수 있 는 정보의 안정성에 관해 통제를 하지만, 아이들은 통제망을 피해서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생각해낼 지도 모릅니다. 집안에 “테크 공간”을 갖추어 모든 디바이스가 한곳에 있어 집안 누군가가 사용할 경우 그것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아이들이 어른의 감독 아래 열린 공간에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 또한 좋습 니다.
If your child is using a tablet, iPad, or phone for school this year, you need to be aware of what they can access online. While many school devices may have safety controls in place, children are pretty creative, and may be able to maneuver around these safeguards. Consider making a “tech space” in your home, where all devices live when they are not in use — and make it centrally located, so you know whenever someone takes a device. Consider also having your children use their devices in the main area of the house, with supervision. For more information, read the VIRTUS® article “5 Keys to Monitoring Kids Online Activity” on lacatholics.org/did-you-know/.
Read the VIRTUS® article “5 Keys to Monitoring Kids Online Activity” here.
자녀들이 학교로 돌아가면서 가능하다면 아이들의 선생님을 직접 만나보는 것을 우선으로 하십시오.
보통 우리들은 back-to-school night 이나 선생님과의 면담때에 자녀의 담임선생님을 만나 알게됩니다.
하지만 자녀의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함께 보내게될 모든 어른들에(미술, 과학, 특수과목 선생님들, 카페테리아 직원 등)
대하서도 잘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을 돌보는 어른들에 대해 잘 알아두는 것이 우선 중요합니다.
자신의 보호 아래에 있는 아이들에게 안전하고 적절한 경계를 제공, 유지하는 것은 어른의 책임 입니다.
교사들에게 이것은 학교 안과 온라인상의 것들을 포함하여 학교 너머의 교육에 전문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모들은 자녀의 소셜 미디어 친구들인지 누구인지 특히 목록에 교사, 코치, 또는 다른 지도자가 있는지 알고있어야 합니다.
It is an adult’s responsibility to maintain safe, appropriate boundaries with the children in his or her care.
For teachers, this means keeping things professional in school and beyond — including online.
Parents should be aware of who their children are friends with on social media sites, especially if
their friends lists include teachers, coaches, or other authority figures. It is an adult’s responsibility to maintain safe,
appropriate boundaries with the children in his or her care. For teachers, this means keeping things
professional in school and beyond — including online. Parents should be aware of who their children
are friends with on social media sites, especially if their friends lists include teachers, coaches,
or other authority figures.
당신의 아이들은 아마도 상당 시간을 온라인상에서 보내게 될 것입니다. 모든 자료가 믿을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아이가 온라인상의 자료를 판별할 수 있도록 가르치십시오. 아이의 연령에 맞는 정보를 사용하여 자료의 전문성이나 만든 동기, 정보의 적절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가르치십시오. 허위와 사실을 구분할 수 있고 자료의 질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아이가 진위를 판단하는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Your children will likely spend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online. All sources are not created equal, so teaching them to evaluate the information online is critical. Using concepts appropriate for their age, teach your children to consider the expertise, motive, and relevance of the information they consume. Being able to separate fact from fiction, an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received, will help your children assess truth. For more tips, read the VIRTUS® article “Keeping Kids Safe Online By Teaching Them to Evaluate Sources”
만약 길을 잃은 것처럼 보이는 아이를 상점에서 보게 된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미아는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미아로 보이거나 도움이 필요한 듯 보이는 아이로 의심된다면 어른은 아이를 돕는데 나서야합니다. 아이에게 도움이 필요한지 물어보고 아이를 시야 안에 두고 상점의 직원에게 아이의 부모나 보호자를 찾아보도록 요청하십시오. 아이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조치가 취해질 때까지 아이와 함께 기다려 주십시오. 아이와 두고 또는 함께라도 자리를 떠나지 마십시오.
What do you do if you see a child who appears to be lost in a store? A missing child is everyone’s responsibility. Adults who suspect a child may be lost or need help should get involved. Ask the child if he needs help. Keep the child in eyesight and enlist the help of store employees to locate a parent or guardian. Wait with the child until help arrives. Do not leave with or without the child.
당신의 일상이 인신매매와 크게 관계가 없다하더라도 인신매매 근절을 위해 한 부분을
도울 수 있습니다. 기본부터 시작하자면 – 인신매매에 관한 사실들에 대해 알고,
어떤 상황일지를 알고, 인신매매 핫라인으로 도움을 요청하는 법을 알아두는 것입니다.
또 지역 커뮤니티를 살펴보고 인신매매 근절 기관에 쓰일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자원봉사를 할 수도 있고, 관심을 높이는 것, 또 당신 스스로와 다른
사람들에게 그 위험성에 대해 교육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Even if you have no daily connection with human trafficking, you can
do your part to help stop this crime. Start with the basics — know the
facts about human trafficking, what it looks like, and how to get help from
the National Human Trafficking Hotline. Look at your community,
and what resources are available for anti-trafficking organizations.
You can volunteer, raise awareness, or even simply educate yourself
and others about the dangers. For more ideas, visit acf.hhs.gov.
만약 자녀가 교구 안 학교나 교회의 여름 캠 프에 참여하고 있다면 그중 일부 또는 모든 스태프들은 봉사자이거나 또는 젊은 사람들 일 것입니다. LA 교구에서는 어린이들과 만 나는 모든 봉사자들에게 어린이 안전 지침과 아동 학대로부터의 예방법 숙지를 위해 Virtus 교육을 받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아동학대 예방 교육 프로그램은 어린이들의 안전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하며 봉사자 교 육은 그를 위한 행보의 한 부분입니다.
If your child is participating in a summer camp through your diocesan school or church, likely some — or all — of the staff will be volunteers or young people. In the Archdiocese of Los Angeles, all volunteers who have contact with children are required to go through VIRTUS® training to ensure that they are aware of child safety standards and protection from abuse procedures. Child abuse prevention training programs are critical to ensuring the safety of our children, and volunteer training is one part of this mission.
익사는 빠르고 소리 없이 일어납니다. 구조되지 못하면 사람이 물속으로 가라앉기까지는 20초에서 60초 정도의 시간이 걸립니다. 익사 예방을 위해서는 구조 요원이 있는 물에서 수영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항상 자신의 당번 시간 동안 눈을 물 안과 물가에 두고 지속적인 주의를 기울일 책임이 있는 'water watcher' 를 두십시오. 비상 상황 발생 시에는 물에 빠진 사람 가까이 물건을 던지거나 뻗는 방식을 택하십시오. 자신 또한 익사의 위험에 처할 수 있으니 구조 상황에서 함부로 몰 속에 들어가지 마십시오.
익사 사고는 5세와 14세 사이 연령의 아이들에게 두 번째로 많이 일어나는 안전사고이며 CDC에 따르면 매년 미국에서 4000명이 넘는 숫자가 익사로 사망하고 있습니다. 보호자의 보호와 감시 없는 물놀이의 예방과 성인의 철저한 관리, 그리고 수영을 배우는 것은 익사 사고를 막기 위한 매우 중요한 방지책들이 됩니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아동학대 관련해 의심스런 상황을 보고를 해야하는 전문가를 의무신고자 라고 합니다. 의무신고자는 의사, 의료종사자, 교직원, 그리고 성직자들입니다. 아동과 직접 교류하거나 지도해야 하는 공립 사립 기관의 봉사자들은 의무신고자는 아니지만 아동학대와 방조 상황을 알아차리고 보고할 수 있는 트레이닝이 권장됩니다. 엘에이 교구는 교구 안의 모든 성당들에게 아동학대가 의심이되면 어떠한 상황이라도 적절한 집행기관에게 알리기를 권장합니다.
In California, a mandated reporter is a professional who is required to report instances or suspected instances of child abuse. Mandated reporters include doctors, medical examiners, health care facility workers, daycare workers, school employees, and members of the clergy. Volunteers of public or private organizations whose duties require direct contact with, and supervision of children are not mandated reporters but are encouraged to obtain training in the identification and reporting of child abuse and neglect. The Archdiocese of Los Angeles encourages all in our church to speak up to the appropriate authorities if any form of child abuse is suspected. Find out more about mandated reporters at childwelfare.gov.
인신매매는 생각보다 많은 장소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인신매매범들을 수법이 발달해 우리가 알아차리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만약 주변에서 자연스럽지 못한 상황을 인지하거나 의심스러운 분위기를 감지했다면 이를 보고함으로서 누군가의 생명을 구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인신매매는 작은 사인으로 알아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누군가를 심하게 의존하거나 누군가에게누구와 대화할 수 있는지 또는 무슨 말을 할 수 있는지를 종종 통제당하는 것들입니다. 피해자는 자주 소심하고 두려움에 찬 모습을 특히 특정 사람에게 보이게 되며 친구, 가족, 커뮤니티로부터 떨어져 혼자 있는 보는을 보이게 됩니다.
Human trafficking is happening in more places than you would think, and often it passes unnoticed because traffickers are highly skilled. If you see a situation that does not feel right, or you observe something inappropriate or concerning, you could be saving someone’s life by reporting it. Often, trafficking can be noted by small indicators: someone who is deferring to another person often, or who is often controlled in who they can talk to or what they can say. Victims will also often appear to be timid or fearful, especially of a particular person, and to be isolated from other friends, family, and community members. For more information, read the VIRTUS® article “Know the Facts: Abductions and Human Trafficking” at lacatholics.org/did-you-know/.
Read the VIRTUS® article “Know the Facts: Abductions and Human Trafficking” here.
‘Courage First Athlete’ 핫라인은 스포츠 영역에 존재하는 아동 학대 방지를 위한 국가 자원입니다. 상담자와 팀원들은 스포츠 커뮤니티의 신체적, 정신적 안정 보장과 정서적 지원, 위기상황을 대처 방법, 그리고 학대 의심 관련된 가이드라인을 제공을 돕고 있습니다. 만약 아이의 스포츠팀에 관해 우려나 의문점이 있으시다면 888-279-1026 번호로 문자나 전화 또는 athletehelpline.org 사이트를 방문해 보십시오.
The Courage First Athlete Helpline is a national resource aimed at combating child abuse in sports. Counselors and team members are available to help ensure physical and mental safety for sports communities, offering emotional support, crisis intervention, and guidance related to abuse concerns. If you have concerns about your child’s sports teams, you can call or text 888-279-1026, or visit athletehelpline.org.
아동성범죄는 여러 상황에서 발생하며 피해자의 연령대 또한 다양하하지만 많은 사례에서 두 가지의 공통점들이 발견됩니다. 그것은 취약성과 기회입니다. 취약성은 가해자에 비해 신체적으로 취약한 경우 또는 관계에 있아 불평등한 경우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해자는 종종 취약해 보이는 피해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가 서서히 부적절한 행동에 익숙해게 하는 방법을 보입니다. 그러한 과정에서 가해자들은 자신들의 목적을 위해 슬립오버, 베이비시팅, 파티나 페스티벌과 같은 기회들을 포착하게 됩니다.
Child sexual abuse happens under varied circumstances, and to victims of all ages. But many cases have two things in common: vulnerability and opportunity. Vulnerability can come in the form of physical weakness in comparison to an abuser, or a power imbalance in a relationship. Abusers often target vulnerable victims through grooming, making them accustomed to increasingly inappropriate behaviors. From there, abusers will take available opportunities — sleepovers, babysitting, chaotic events like parties or festivals — to make their move. For more information, read the VIRTUS® article “Learning from True Stories of Victims/Survivors” at lacatholics.org/did-you-know/.
Read the VIRTUS® article “Learning from True Stories of Victims/Survivors” here.
Adults have a responsibility to provide the young people in their care with examples of responsible adult behavior. Small behaviors like following the rules, listening to the children in your life, wearing your seatbelt, looking both ways before crossing the street — these all teach children that you are a trusted adult and that you can be counted on to do the right thing. For more small things that make a big difference in the life of a child, read the VIRTUS® article “Modeling Healthy Behaviors” at lacatholics.org/did-you-know/.
Read the VIRTUS® article “Modeling Healthy Behaviors” here.